프리세일즈 도큐멘토 나라장터 입찰 제안서 다운로드 제공, 공공기관 제안서, 시스템 구축 제안서 판매

메타버스 사업 분석 결과 및 인사이트 도출, 아이디어 도출





나라장터 공고 확인


1. 나라장터 접속 (https://www.g2b.go.kr/)

2. 검색어 = 메타버스 전주

도큐멘토 | 나라장터 입찰 제안서 검색






전주-익산 메타버스 여행 도서관 구축 사업



공고일시    : 2023/06/19 15:45

공고번호    : 20230628699 - 00

공고기관    : 전라북도 전주시

입찰방식    : 전자입찰


입찰개시일시    : 2023/07/07 10:00:00

개찰(입찰)일시 : 2023/07/11 18:00:00

사업금액        : 1,990,000,000원 (20억원)

추정가격        : 1,809,090,909원  (부가세 : 180,909,091원)


# 본 콘텐츠는 판매를 목적으로 생산했다가 후배님들 교육을 위한 취지에 맞게 판매가 아닌 교육자료로 활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사업 설명

1. 전주-익산 도서관을 메타버스로 표현하는 것

2. 동시접속자와 전체 접속자들이 원활하게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HW 구성할 것

3. UGC 플랫폼으로 활용할 것

4. 타 지역 참여도를 향상시킬 것


# 단순히 도서관을 메타버스로 구성하는것이 아닙니다.

# 메타버스 플랫폼을 구성하는 제안요청사항입니다.




용역기간과 기초금액


제안서 작성을 위해 제안요청서 용역기간 분석


1. 사업수행 기간

 - 공고 내부에 세부 일정이 있음

 - 6월 공고, 7월 업체 계약 완료 일정으로 계산


2. 기초금액
  - 사업금액과 추정가격을 확인해야 함 (대부분 VAT 를 제외한 금액을 추정가격으로 공개)

※ 주의사항 : 추정가격은 공고를 올릴 때 넣는 금액일 뿐, 입찰가격에 참조만 한다.

제안서 작성을 위해 제안요청서 비예가 확인

3. 정부 예산의 경우 시,군,구 등 각 기관별로 예산을 분할 담당하는 경우가 있음

    예) 정부지원 90% = 정부 50% + 군 40% / 자부담 10% 의 개념

    본 내용의 경우 대표기관과 관련기관이 각각 계약하고 비용을 부담하는 개념으로 진행됨




입찰 참가자격 및 주요 키워드


제안서 작성을 위해 제안요청서 입찰 참가자격 확인


1. 입찰참가자격

  - 가장 중요한 부분임

  - 말 그대로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을 논하는 부분임


2. 업종코드가 등록 되어있어야 함 (기업 정보)

  - 없을 경우 바르게 등록 추진할 것


3. 중기업 또는 소기업 또는 소상공인 확인서 소지 업체

  -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참여제한이 있다는 뜻

  - ‘다‘항에 대기업 참여제한 명시 되어있음

※ 파란색으로 표기 되어있을 정도로 중요한 부분입니다. 해당되지 않을 경우 바로 입찰참가 자격은 박탈됩니다.



사업 이행 방식
제안서 작성을 위해 제안요청서 사업이행방식 검토


1. 해당 사업과 관련된 기술지원 협약이 체결 되어있다는 뜻

  - 제안요청서 안에 관련 부분이 기술 되어있음

  - 해당 기업과 연락하여 업무 범위 등 협의 필수


2. 공동이행방식 = 컨소시엄이 가능함

  - 총 3개 이하의 기업이 각각 업무범위를 구분하여 추진이 가능함


예를들어)

   . A 기업 – 시장조사, 기획, 디자인

   . B 기업 – 시스템 소프트웨어 또는 플랫폼 도입

   . C 기업 – HW 등 인프라 도입

  - 최소 지분율 5% 이상

   . 각 기업이 컨소시엄하게 되면 5% 이상의 참여율을 가지고 있어야 함


 예를들어)

   . 투입인력총괄표 등에서 각 기업에 소속된 인력으로 구분

   . 견적서에서 금액으로 구분



제출 방식 및 입찰 방식

제안서 작성을 위해 제안요청서 제출방식 검토


1. 제안서 제출방식은 직접 방문제출이나 가격제안서는 G2B (나라장터)에서 전자 제출

  - 중요한 부분입니다

  - 제안요청서에 제출서류와 제안서의 부수 등이 기재 되어있으니 참조하여 방문 제출합니다.

   . 제안서 제출 시 BOX 에 고이 모셔서 제출합니다.


 2. 가격제안서는 전자입찰

   . 사전에 지문등록 등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테스트 필수)


# 보통 마감 2시간 전 쯤 입찰합니다. 사전 테스트 필수입니다. 입찰 전 까지는 해보셔요.


제안발표

제안서 작성을 위해 제안요청서 제안발표 방식 검토


1. 제안 발표

  - 발표일 전날 미리 해당 지역에서 숙박하시길 권고합니다.

  - 발표자 컨디션 관리 차원에서의 권고입니다.


2. 발표시간

  - 20분 발표, 질의응답 10분

  - 사전에 불필요한 내용 등은 모두 제외하고 핵심 내용만 발표합니다.


# 13일(화) 제출 -> 16일 발표(금)

  - 규모대비 발표까지 기간이 짧습니다.

  - 제안서 작성하면서 발표까지 동시에 준비 해야합니다.


평가 구성

제안서 작성을 위해 제안요청서 평가 구성 검토


1. 기술 90% / 가격 10%

 - 사업의 초기이기 때문에 ‘요구사항을 수용할 수 있는가?’ 를 집중적으로 보는 것

 - 메타버스라고 표현하고 단순한 표현방식으로 구현하면 감점하는 등이 발생될 것


# 이러한 경우

 - 기간 내 수행 가능함을 확실하게 어필할 것

 - 관련 기술의 ‘특허‘ 등을 확실하게 어필할 것

 - 관련 기술의 ‘레퍼런스‘ 등을 확실하게 어필할 것

 - 관련 기술자 보유상태, 기술자의 경험을 어필할 것


사업을 통해 만들어질 내용에 대해 ‘믿음‘을 줘야 합니다. 레퍼런스, 특허, 관련 기술자가 얼마나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지 등을 어필함이 좋습니다.



추진 배경 & 사업 개요
제안서 작성을 위해 제안요청서 추진배경 검토



추진배경 및 필요성

 - 메타버스가 새로운 동력으로 급부상 된 상태이고, 독서문화를 키워드로 디지털 가상도서관을 만들겠다. 라는 의도.


사업개요

 - 20억을 투자하여 10개월동안 도서관 여행 메타버스를 만들겠다

 - 6월중 협의 계약할 경우 7월부터 시작~’23년 4월 경 프로젝트 종료됨

    ‘24년도 2/4분기 시작시점에 서비스를 오픈하고, 봄~여름 사이에 유저를 모객하겠다. 라는 의도를 엿볼 수 있음


정보조사 (보도자료)

제안서 작성을 위해 정보조사 (보도자료 조사)

’22년 7월 : 도서관 여행 메타버스 구축 후 오픈

’23년 4월 : ‘미륵사지 메타버스’ 수준미달 보도자료

# 도서관과 미륵사지를 오픈하고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것을 알 수 있음.



크게 세가지 사업으로 구성

제안요청서 사업범위 확인


사업범위

 - 도서관 여행 메타버스 플랫폼 기획/설계

 - 메인 맵 구현

 - 가상 여행공간 구축

 - 분야별 서비스 및 콘텐츠 개발


[파악 내용]


도서관 여행 메타버스 플랫폼 기획/설계

 - 플랫폼 자체에 스토리를 가지고 있는 공간을 만들 것


메인 맵

 - Map 이 별도의 메뉴로 있을 정도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이전 사업에서 Map 이 없었기 때문에 불편한점이 있었을것으로 예측됨

 - 도서관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함

# 메타버스 특성 상 ‘검색’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Map 이라는 아이디어를 도출한 것으로 보여짐


가상의 여행공간 구축

 - 실사 중심의 3D 공간 구현이 ‘여행 공간’을 표현하는 단어로 판단됨


서비스 및 콘텐츠 개발

- 현실 세계의 움직임을 반영한 아바타 적용 및 인터랙션 기능

 : 사람처럼 움직이면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반응하는 아바타를 만들라는 뜻


도서관 대중화 및 지역서점 정책 연계 서비스 개발

 - 일반 유저의 접근성을 올려야 하고, 지역서점이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구성해야 함


타 플랫폼 연계, 연동 등 확장성 고려해야 함

 - 오픈소스와 오픈API, 공통 언어등을 활용하여 개발해야 함



사업의 배경과 목표, 추진전략

사업 배경 및 추진목표, 추진전략 확인


추진목표

-비대면 수요에 맞춰서 미래 도서관을 만들고, 도서관 여행콘텐츠로 소통문화를 확산시키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 (가상의 여행공간)

 

#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주-익산’의 플랫폼을 만드는 것이 주 목표로 보여짐


추진전략

-도서관이지만 흥미 있는 메타버스 도서관을 만들고
-체험형 콘텐츠를 기획해서 도서관을 활성화 시키고
-정책 연계해서 지역서점의 불만을 잠재우고
-베네핏을 부여해서 주기적인 접속 유도 방안을 만들자


# 게임형 미션의 메시지에서 많은 내용을 내포하고 있음, 

# 제안 후 실행 중 업무 협의가 많이 발생될 위험요소로 판단



전주와 익산, 그리고 제안사의 관계

제안사 R&R 검토


전주시 : 전체 사업 총괄/ PM 역할을 수행

익산시 : 업무 서포트

민간 협의체 : 이슈 발생 시 업무 문의, 연합회 등 콘텐츠 확인


추진 일정 검토 (전체 사업 일정)


초기 3개월 : 특화요소와 스토리기획, 디자인 설계와 화면구성

이후 7개월 : 시스템 구축

# 일정이 맞는지 확인해보고, 제안 시 맞는 제안이 필요함

# 전체 일정은 제시된 일정을 중심으로 구성해야 함



스토리텔링 된 도서관

제안을 위해 제안요청서 과업 세부내용 검토


Mission

1.스토리를 담은 도서관을 표현할 것

2.여행, 체험을 할 수 있는 Map 을 표현하고 동선을 표현할 것

 

# 제안 전체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키 컨셉’을 정의하고, 정의된 컨셉으로 제안서를 작성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 해당 키 컨셉은 스토리,공간,콘텐츠,서비스 등 모든 상황을 관제할 수 있다.



Map 구성에 대한 Needs

제안을 위해 제안요청서 Map 구성방안 검토



Mission

1.스토리를 담은 도서관을 표현할 것

2.여행, 체험을 할 수 있는 Map 을 표현하고 동선을 표현할 것



도서관 구성에 대한 Needs

제안을 위해 제안요청서 메타버스 실감형 콘텐츠 구성안 검토




Mission

1.키컨셉을 중심으로 구성될 수 있는 디자인적 요소 반영

2.서비스 부문별 이용 튜토리얼 제공 (이용 가이드 또는 체험할 수 있는 요건 제공)

3.생동감 있는 아바타 – 키 컨셉에 맞춘 아바타 형태 (npc 역할)


플랫폼 Needs

제안을 위해 제안요청서 플랫폼 요구사항 확인


Mission


1.기존 시장에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과는 다른 요소를 가지고 있는 플랫폼을 만들어라.
- 전주, 익산이 눈에 보이면서 사용자 참여도를 유발할 수 있어야 함


2.계정 연동 필요 (SSO 아님) – 카카오싱크, 네이버로그인, 구글로그인 활용


3.도서관은 도서관 답게 구성하고, 지역서점 콘텐츠를 빠르게 알 수 있어야 하며, 메타광장에서 콘텐츠를 봐야 함

4.보안강화 및 안정성 확보 : 보안 가이드 준수

5.안정적인 서비스 운용 필요
-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 네이버 클라우드 (동시접속자 60명 / 통합 500명 이상 접속자 유지 필요)
- 모바일 Application : 플루터 개발 (메타버스 이용 불가, App 서비스 기획해야 함)
- 개인정보보안 : 이메일 계정 보안 (암호 코드 전송 및 승인 제도)
- 불건전 행위 : 인공지능 판단, 신고제도 활용 -> 관리자 통제
- 그래픽 리소스 : 안정적 엔진 활용

6.메타버스 관리자 프로그램
- 메타버스 관리자 대시보드 제공
- 회원 및 권한 관리
- 관리자/운영자/이용자 권한 관리
- 콘텐츠 승인 관리
- 커뮤니티 관리
- 통계

# 메타광장을 이용해서 사용자 참여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음


제안을 위해 제안요청서 플랫폼 연동방안 확인


Mission


1.서비스 확장 연계
- 전주-익산을 시작으로 하는 플랫폼이기 때문에 향후 타 플랫폼과 연계할 수 있게 API 개발하여 정보제공 기반을 마련해야 하는 것
- 과기부 메타버스 통합플랫폼과 연계방안을 제시해야 함
. 조직도에 담당 기술지원한다고 기재되어있음, 관련자료 요청해야 함

제안을 위해 제안요청서 서비스 확장 연계방안 확인


2.가상공간 참여 동기부여
- 메타공간에 사용자가 참여할 경우 어떤 베네핏을 줄 것인지?
- 1회성이 아닌 정기적 접속 유도가 가능해야 함
- 시민 및 이용자 홍보를 위한 마케팅 활동 추진할 것 (용역비 내에서 활용)




고객사 정보 조사


분석 결과를 도출하기 전, 또는 RFP 다운로드 받은 후 고객사의 분위기와 소속된 시장 분위기, 전체적인 시장분위기와 흐름 등을 파악해야할 필요가 있다.


제안서 | 도큐멘토 입찰 제안서 작성


1. 정보조사 (보도자료)

 - ’22년 7월 : 도서관 여행 메타버스 구축 후 오픈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207147927Y?fbclid=IwAR0lj1eYiysrlLPMVa3FA_42F_OCQnyvh1i7Oe17siP3NnqVMVBxV8b-_fI


 - ’23년 4월 : ‘미륵사지 메타버스’ 수준미달 보도자료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0411000030?fbclid=IwAR0Nd1gdMYp4QVskYcqBKKJ-E0JEntAw12je20xLTmUztZIYrM8D8FaQF5I


# 도서관과 미륵사지를 오픈하고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것을 알 수 있음.


2. 콘텐츠 제작 지원

 - 전주시에 대한 메타버스 콘텐츠를 공모하는것으로 보아, 해당 내용을 제안서에 녹여서 ‘여러 사람이 콘텐츠 업데이트 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의 발전’을 아이디어로 활용할 수 있을것임


3. 전주 메타버스 검색 시 보도자료

 - 전주 한옥마을, 도서관 두가지 사업이 시행된 것으로 판단됨


4. 나라장터 검색

 - ‘22.10 :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사업

 - ‘22.11 : 메타버스 한옥마을 개발을 위한 연구 용역

 - ‘22.09 : 스마트 전주 역사 박물관 구축 사업


# 전주시는 스마트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음을 확인

# 담당 주무관 등은 관련 인사이트가 풍부할 것으로 예상됨, 전문지식을 활용한 제안서 필요







제안 요청사항 - One page 분석


분석 후 결과를 도출하고 인사이트를 추출할때는 'One page'로 함축해서 알 수 있도록 구성이 가능해야 한다.



도큐멘토 입찰 제안요청서 분석 | 메타버스 전주





제안요청사항으로 도출한 인사이트


1. 다양한 서비스를 '메타버스'를 이용해서 제공하고 싶어 한다.

- 도서관 이라는 키컨셉을 중심으로 편성된 예산을 활용하여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 대외적 사용자를 모집하고 전주-익산의 지역 경제 활성화를 노리고 있다. (명분)

- 주변 지역의 참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 빅피처가 있는것이 보이지만 여기서 언급하지는 않겠다.


2. 이 서비스의 구성은 세가지로 볼 수 있다.

1) 지역 서점의 참여 (지엽적인 부분으로 판단)

2) 도서관의 콘텐츠화 (핵심 콘텐츠)

3) 메타광장 (타 지역의 참여)


# 부가적인 콘텐츠라고 해도 '담당자'는 존재할것이고, '제안요청서(RFP)'에 명시된 이상 실현되어야 하니 쉽게 보면 안된다.


3. 이 서비스를 구성하는 '메타버스'의 시스템적 구성 단위는

Level 예제구분구성
City Level최대 영역- 전주 , 익산 / 외에 추가적으로 늘어날것을 감안하고 구축해야 한다.
- 담당자의 노림수는 주변 지역의 '참여'이다.
- npc 의 가이드 필요
Zone Level군집 영역- 지역 서점 / 도서관 / 메타광장의 영역이다.
- Mini Map 에서 이동해서 도착하는 영역으로 볼 수 있다.
- npc 의 가이드 필요
Space Level유저 활동 영역- (예) 도서관에 도착하여 주변을 둘러보고 콘텐츠를 찾아보는 영역
- (예) 웹사이트로 본다면 '사이트 내 콘텐츠 리스트' 영역으로 볼 수 있다.
- npc 의 가이드 필요
Cell Level콘텐츠 영역- 사용자는 콘텐츠를 확인하고 열람하는 영역이다.
- 열람과 참여가 이루어진다.
- 콘텐츠의 스크리닝이 필요하다. (불건전 행위 관리가 필요한 영역)



Mini map


1. 서비스 이용률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zoom in/out 을 활용해서 컨트롤 해야한다.

- XR gesture 을 이용하거나, 메타버스 기기의 버튼, 공간의 포인트 클릭 등으로 접근성을 올려야 한다.


2. 사용자는 해당 위치를 클릭해서 바로 접근 가능해 보이지만, Zone 의 수가 많아질 경우 찾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 사람의 시각은 수 많은 정보를 동시에 판단하는데 무리가 있다.



NPC

1. Quest 를 제공하고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2.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Guide 를 제공한다.



지역활성화 콘텐츠

1. 전주-익산 지역을 소개할 수 있고 정보를 얻어갈 수 있도록 구성해야한다.

2. 몇개정도의 콘텐츠일지 모르나, 콘텐츠 업데이트 후 유지보수까지 함께 제안하면 좋을것이다.




UGC (User-generated Contents)

1. 사용자가 참여해서 콘텐츠를 메타광장에 업데이트하게 되어있다.

2. UGC 에 대한 별도의 미니 관리자가 필요하고, 유튜브 등 콘텐츠를 끌어와서 볼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추가 제안 필요한 부분

1. 음성 검색 영역

- TTS, STT 를 활용한 음성 검색 영역이 필요하다. 

# 추가 제안이 가능하다면 하되, 비용이 나올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차년도 예산 또는 유지보수 예산을 활용해야할것으로 보인다.

도큐멘토 메타버스 제안요청서 분석




2. NPC Quest 의 확장

- 전주-익산의 특산품 등을 이용한 게임적 해석이 필요하다.

- 사용자에게 친숙한 캐릭터를 NPC 로 설정하는 부분도 좋다.

웹툰 : SSS급 죽어야 사는 헌터에서 등장하는 '만상의 대도서관, 방구석 도서관장' = 위키


- 실제 게임에서 보듯이 '각 위치에 맞는 NPC'로 구성하는것도 좋다. (예산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예를들면) 경찰서면 포도대장, 대장간이면 대장장이, 주막이면 주모 등 TPO 에 맞는 인물들이 npc 로 등장하는것도 좋다.





3. 전체적인 세계관이 필요하다.

- 전주-익산의 과거사를 중심으로 세계관을 구성하여 과거부터 현대까지의 게임을 구성하여 제공하는것이 좋다.

- 역사학자와 MOU, 고문영입으로 계약을 맺고 제안하는것도 좋아보인다.

- 3개년 성장방안 등으로 단계적 고도화를 제안해보자.도큐멘토 RFP 분석

< 조선왕조실록 이미지 >



4. 지역박물관과 제휴

- 박물관의 역사적 인물들이 재탄생하여 메타버스 안에서 가이드하고 미션 부여하는것이 있을 수 있다.

- 지역 특산물을 소개하고, 지역의 명소를 소개하는 콘텐츠로 활용

좌)임수륜초상, 안집초상, 이상길초상, 김관초상

좌)임수륜초상, 안집초상, 이상길초상, 김관초상


5. 사용자의 참여 (UGC)

- 사용자의 캐릭터(아바타)가 움직이는 활동 등을 '녹화' 하여 3D 로 제공하는 콘텐츠를 구성해보자.

- 영상 편집 부분까지 동시 제공한다.


# 단, 2024년도 초까지는 충분한 프로모션이 가능하도록 완성도가 나올 수 있는 제안이 필요해보인다.




파일 다운로드

https://www.documento.co.kr/shop/?idx=146





제안서 전체보기
제안서 사본 (pdf)
제안서 원본 (PPT)
사업운영 단계
무료 상품
기획 인사이트
기획자로서 얻은 깨달음 공유합니다.
제안서 인사이트
제안서를 작성하며 얻은 깨달음 공유합니다.
제안서 작성법씽크탱크
최신 보도자료, 토픽을 정리하여 매일 업데이트합니다.
구매후기
찐 리얼 후기
알립니다

프리세일즈 도큐멘토  |  정부지원 나라장터 입찰 제안서 및 실무 기획서 등 제공

문서는 포멧만으로도 가이드가 된다, 문서에서 받는 멘토링은 사수보다 많다

---

아마란스  |  682-53-00808  |  제2023-수원권선-0773호

출판사 신고번호 : 제 2023-000074호

경기도 광명시 소하로 190, 12층 비1216-50(소하동, 광명G타워) 

전화번호 : 010-3284-6979 (11:00 ~ 16:00) , 주말 / 공휴일 휴무

이  메  일 : sales@amarans.co.kr
입금계좌 : 카카오뱅크, 아마란스, 3333-26-7731937


제안서 도큐멘토 브런치 게시글 바로가기